7> 절약모드를 확인하세요! : 일부 프로젝터는 전원 절약모드가 있으며, 절약모드로 사용시 램프 수명이 연장됩니다.
3-1 ) 프로젝터 관련 용어
1> 해상도 :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몇 개의 픽셀 또는 도트로 나타냈는지 그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이미지가 깨끗하고 선명하게 보이지만,
그만큼 점의 수가 많아져서 많은 양의 메모리가 필요하고 결과적으로 속도가 느려지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목적에 맞는 적절한 해상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화면의 색상이 좋지 않아요. : 색상에 문제가 생긴 경우 컴퓨터의 입력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입력화면에 하얀화면을 넣어보세요. - 적은 부위가 얼룩덜룩 한 경우 : 외부 미세먼지가 흡착되어 생는 현상입니다. 정밀 클리닝을 하셔야 합니다. - 넓은 부분이 누렇게 보이는 경우 : 편광필터 버닝 현상입니다. 수리를 받으셔야 합니다. - 특정색만 도드라 지는 경우 : LCD 패널이
파손 경우입니다. 수리를 받으셔야 합니다.
-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의 약칭
- DVI-I와 호환이 가능해서 변환젠더를 사용하면 DVI-I 포트에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 HDMI의 가장 큰 특징은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지않고 하나의 케이블로 전송시키는 것입니다.
-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는 일반적인 A 타입, 요즘 그래픽카드에서 많이 보이는 미니타입의 C타입,그리고 핸드폰 및 포터블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타입의 D타입이 많이 쓰입니다.
- HDMI는 지금 최대 2.0 버전까지 나와있는데 버전이 낮은 케이블은 전송 속도 및 각종기능 지원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모니터 및 기기의
HDMI 버전과 맞는 케이블을 사용하시는 게좋습니다. 예를 들면 블루레이 플레이어에서 3D 영화를 보고 싶은데 1.3버전의 케이블은 지원을
안하기 때문에 1.4 버전의 케이블을 연결해서 봐야 한다던지, 같은 4K 영상을 지원한다고 해도 1.4 버전은 30프레임, 2.0 버전은 60 프레임을
지원하는등 HDMI는 버전에 따라서 차이가 크게 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 VESA에서 정한 영상 전송 표준 커넥터 (DISPLAY PORT) 약칭 DP라고 부릅니다.
- HDMI와 마찬가지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VESA 표준이기 때문에 특허 사용료도 없고, HDMI보다 대역폭도 더 높습니다.
(현재 HDMI단자를 사용 기기는 제품당 0.15$의 특허 사용료를 지불합니다.)
- DP도 HDMI 같이 여러 가지 버전이 있지만, 케이블에 관한 것이 아니라 DP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칩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케이블 버전에
따른 차이는 없습니다. 즉 아무 DP케이블이나 모양만 같으면 써도 상관 없으며, 그중 미니DP 는 애플의 선더볼트와도 호환이 가능합니다.